중학생 A군은 연인 사이였던 B양이 거부하는데도 여러 차례 유사성행위를 했다. 같은 반 남학생들에게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B양과 있었던 스킨십 등에 대해 전하기도 했다. B양의 가족은 이를 신고했고, A군은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로 넘겨져 전학·특별교육 이수 처분을 받았다. 성범죄 관련 혐의로 가정법원에 송치된 뒤 보호처분 결정을 받기도 했다.

 

올해 상반기에 300명이 넘는 청소년이 교제폭력으로 검거됐다.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증가세를 보인 10대의 교제폭력이 올해에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올바른 관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5일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총 6963명이 교제폭력으로 검거됐다. 20대가 2467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1858명 ▲40대 1209명 ▲50대 715명 ▲10대 364명 ▲60대 이상 350명 등이었다.

 

최근 5년간 10대의 교제폭력은 전 연령대 중 가장 가파르게 늘었다. 2020년 교제폭력으로 검거된 10대는 280명이었으나 지난해 626명으로 늘며 2.2배(123.6%) 급증했다. 2022년부터는 훈방·즉결심판 처리된 가해자는 제외하고, 형사입건된 가해자만 집계한 점을 고려하면 실제 10대의 교제폭력 문제는 더 심각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10대는 2020년부터 교제폭력으로 검거된 인원이 매년 늘어난 유일한 연령대다. 교제폭력 사건에서 주된 가해 연령층으로 꼽히는 20대와 30대는 2021년 한 차례 소폭 감소했지만, 10대는 2020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근무하는 A씨는 "학생들 간에 교제폭력이 왕왕 발생한다"며 "가스라이팅, 공개적인 장소에서의 스킨십 강요, 원치 않는 성관계 요구 등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목격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성평등 교육의 부재, 가벼운 처벌, 갈등·감정 조절에서의 미숙함 등을 청소년 교제폭력 증가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허민숙 국회입법조사처 조사관은 "교제폭력이 10대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별로 상상하지 못하는 사회다. 현실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며 "어린 시절부터 어떻게 서로 존중하면서 친밀한 관계를 맺을 것인지, 누군가를 좋아하는 감정을 어떻게 다룰지, 상대의 거절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존중하며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이 전무하다"고 분석했다.

 

허 조사관은 "지금은 우리나라에서 청소년들을 촉법소년 등을 이유로 제대로 처벌하지 않고 있다"며 "손을 봐야 한다"고 했다.

 

이현숙 탁틴내일 대표는 "갈등이 생겼을 때 사과하고 공감하고 비폭력적인 방식으로 감정을 이야기하면서 서로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등 실수, 시행착오, 갈등 해결을 통해 성장하는 경험이 적다"며 "코로나 세대는 학교를 다니면서 어릴 때 친구와 만나는 경험이 덜해 관계에서 어려움을 많이 겪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이 대표는 "성별 고정관념이 예전보다 적어졌다고 하지만 사귈 때는 성역할에 충실해지기도 한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교제폭력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허 조사관은 "미디어에서는 남성들의 폭력적인 구애나 잡아끄는 행위 등을 '사실은 좋아서 그랬어'라고 로맨스로 포장하는데 10대는 이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며 "이런 것들이 교육 속에 녹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상대를 존중하는 것"이라며 "'연인관계가 됐다고 해서 '네가 함부로 할 수 있는 상대가 된 게 아니야', '너랑 언제든지 원할 때 성관계할 수 있는 대상이 생긴 게 아니야'라는 교육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평등한 연애, 의사소통, 의사결정, 안전한 이별, 연애 후 성장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며 "성장하는 과정 중 관계에서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고 실수했을 때 어떻게 개입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7 경찰 '늑장 수사' 이어…유괴 미수범들 구속영장마저 기각(종합) 김미래 2025.09.06 18
2216 '가뭄 재난' 강릉 저수율 12.9% '뚝'…오늘부터 아파트·호텔 '급수 중단' 이철수 2025.09.06 16
2215 설마했는데…“결국 중국 제쳤다” 한국 세계 1위, 신약 ‘대기록’ 목전 글렌 2025.09.05 30
2214 불면증 완화에 좋은 음식 5가지 허밍웨이 2025.09.05 18
2213 “100만명 동시 투약 가능” 김해공항 개항 이후 최대규모 마약 밀수 외국인 적발 김미래 2025.09.05 20
» '10대 교제폭력' 5년간 2.2배 증가…연령대 중 유일하게 검거 매년 늘어 이철수 2025.09.05 23
2211 내년부터 하정노동자들 명절및성과금 없다는데요. 사내하청 2025.09.04 60
2210 '금이 金값' 연일 사상 최고치 경신...올해 얼마나 올랐길래 김미래 2025.09.04 24
2209 새벽 시간 노린 절도·스토킹 범죄…CCTV 관제센터에 '덜미' 이철수 2025.09.04 20
2208 생활팁) 집에서 하는 맨몸운동 허밍웨이 2025.09.03 26
2207 “오늘 하루 힘들었죠” 한마디로 여성 살린 퇴근길 소방관 이철수 2025.09.03 24
2206 복어 독 20배 '날개쥐치' 먹어도 만져도 안됩니다 김미래 2025.09.03 23
2205 남부지방 소나기…낮 최고 33도 '후텁지근' 허브민트 2025.09.02 20
2204 몸에 가장 좋은 견과류 5가지 허밍웨이 2025.09.02 20
2203 육군 대위 총상 입고 숨진 채 발견...군 당국 “범죄 혐의점 없어” 김미래 2025.09.02 23
2202 집 나선 지 18시간 만에… 퇴근길 경찰 눈썰미 덕에 실종자 극적 발견 이철수 2025.09.02 25
2201 분당서 이삿짐 사다리차 '쿵'…납작해진 승용차, 건물도 날벼락 오호라 2025.09.01 33
2200 불륜 격분, 잠든 동거남에 뜨거운 물 붓고 흉기 푹…실형 화이트 2025.09.01 27
2199 홍성 102.0㎜, 보령 74.5㎜…호우특보 충남 서부권 폭우 글쓴이 2025.09.01 37
2198 고려아연, 울산 협력사에 200억 금융지원…“지역 발전 기여” 놀러와 2025.09.0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