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SK 중국 반도체 사업 타격…美, 내년부터 양사 中공장 장비 반입 제한
2025.08.30 13:14
삼성·SK 중국 반도체 사업 타격…美, 내년부터 양사 中공장 장비 반입 제한
삼성·SK, 중국 공장 VEU 지위 상실…내년부터 건별 허가
한·미 정상회담 직후 발표…韓 ‘안미경중’ 압박 분석도
전문가 “中 현지 반도체회사 반사이익, 韓 시장점유율 위축”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현지 반도체 공장에서의 장비 조달에 제동을 걸었다.
29일(현지시간) 사전 공개된 관보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명단에서 중국 법인인 ‘인텔반도체 유한공사’(다롄 소재), ‘삼성 반도체 유한공사’, ‘SK하이닉스 반도체 유한공사’ 등 3곳을 제외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보에 적시된 중국 다롄 소재 ‘인텔반도체 유한공사’는 SK하이닉스에 인수된 점을 고려할 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들이 집중 타깃이 된 셈이다.
VEU는 별도의 허가 절차나 기간 제한 없이 미국산 장비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예외적 지위를 말한다. 삼성의 시안 낸드플래시 공장과 SK하이닉스의 우시 D램 공장·다롄 낸드플래시 공장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두 회사도 내년 1월부터 미국 장비를 반입할 때마다 미국 정부의 개별 허가를 받아야 한다. 효력은 관보 게시일로부터 120일 후 발생한다.
미 상무부는 기존 시설 운영에 필요한 장비 도입은 허용할 방침이지만 생산능력 확대나 기술 고도화 목적의 장비 반입은 허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상무부는 성명을 통해 “소수의 외국 반도체 제조 공장은 더 이상 VEU 지위를 얻지 못할 것”이라며 “동맹 기업들도 경쟁자와 동일한 기준에서 개별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바이든 행정부 시절 도입된 예외 규정을 되돌린 것이다. 당시 미국은 중국의 반도체 굴기에 제동을 걸면서도 한국과 대만 등 동맹국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VEU 제도를 제공했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수출 통제의 허점”으로 판단하고 차단에 나선 것이다.
정치적 배경도 주목된다. 미국과 중국은 내년 11월까지 ‘관세 휴전’에 합의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한미 정상회담 직후 해당 조치가 발표된 점을 두고 일각에서는 한국의 ‘안미경중’ 전략을 압박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미국 내 반도체 장비업체들도 매출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램리서치, KLA 등은 두 한국 기업의 주요 공급업체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발표 직후 이들 기업의 주가가 2~4% 하락했다.
‘칩 워’ 저자 크리스 밀러는 로이터통신에 “한국 반도체 업체들이 중국에서 첨단 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며 “만약 중국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 같은 현지 기업에 대한 추가 제재가 뒤따르지 않는다면 한국 기업의 시장점유율이 줄어들 위험이 있다”고 내다봤다.
안성아양영무예다음 여의대방 더마크원 풍무해링턴플레이스 브레인시티메디스파크 로제비앙 모아엘가 라비움 한강 풍무역롯데캐슬 클러스터용인 경남아너스빌 왕숙진접 메르디앙 더퍼스트 가야역 롯데캐슬 스카이엘 청라 피크원 푸르지오 오산세교 우미린 레이크시티 검단 센트레빌 에듀시티 이천 롯데캐슬 3차 평택 고덕 아이파크 2차 엘리프 검단 포레듀 둔산힐스테이트 마석역 라온프라이빗더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