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죽으면 책임질거냐" 절규…싸워야 겨우 들어갈 수 있는 소아응급실 강원·충북·경북·전남엔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없어,,구인난에 주 2회만 야간운영…배후진료도 불가 지난 4월 어느 날 밤 10시, 야간진료를 하는 대전의 한 소아청소년병원에 열성 경련(경기)으로 정신을 잃은 4살 여자아이가 아빠 등에 업혀 들어왔다. 의사가 해열제를 투약했지만 20분이 지나도록 아이의 상태는 호전되지 않았고 이 병원의 원장 A씨는 급히 119를 통해 큰 병원으로의 전원을 요청했다. 하지만 돌아온 것은 인근 병원 응급실들이 모두 환자를 받을 수 없다는 회신. 어린아이의 경우 경기가 오래되면 후유증이 남거나 최악의 경우 사망할 수도 있어 일분일초가 시급한 상황이었다. 결국 A씨가 직접 한 대형병원 응급실에 전화해 "아이가 죽으면 당신이 책임질 거냐"라고 소리를 지른 후에야 응급실은 의료진을 호출하고 아이의 전원을 허용했다. 전국적으로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가 부족하고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를 채용하기 어려운 탓에 소아 응급환자가 발생하더라도 대처가 어려운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특히 서울과 멀리 떨어진 지방의 경우 의료진을 구하지 못해 소아응급실이 주간에만 운영되거나 야간진료가 되더라도 배후진료는 불가능한 상황이 속출하고 있다.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전국 29개 응급의료권역 중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가 있는 곳은 7개 권역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의 소아응급의료 환경은 매우 열악했다.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는 지역별로 서울 3곳, 경기 2곳, 인천 2곳과 충남, 대구, 경남, 세종, 전북에 각 1곳씩 총 12곳이 운영 중이다. 반면 강원과 충북, 경북, 전남 등 22개 응급의료권역엔 단 1곳의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도 설치되지 않았다. 소속 소아과 전문의 수 역시 차이가 크다. 지난 3월 기준 인하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 등 수도권 소재 소아응급의료센터엔 비교적 많은 각각 10명과 7명의 소아과 전문의가 배치돼있다. 반면 충남과 대전에 위치한 순천향대천안병원과 세종충남대병원은 3명에 그쳤다. 특히 소아영상의학 전문의의 경우 충청권을 통틀어 세종충남대병원에 단 1명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역시 이미 정년퇴직을 한 교수로, 세종충남대병원의 간곡한 호소에 따라 근무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의료진 부족으로 정상 운영이 되지 않는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도 있다. 현재 충청권에 위치한 2개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는 매주 각각 이틀만 야간진료를 하고 있다. 세종충남대병원 소아응급의료센터의 한 의료진은 "의사가 최소 6명은 돼야 지속 가능한 24시간 운영을 검토해볼 수 있다"며 "야간에 응급처치를 하더라도 타과 의료진 또한 부족해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경기 남부 등 수도권 병원으로 전원시키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순천향대천안병원 관계자는 "24시간 운영을 위해서는 의사가 더 필요하지만, 채용이 쉽지 않다"며 "인력이 충원되는 대로 다시 정상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아 야간진료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정부는 야간·휴일에 응급실이 아닌 외래에서 경증 소아환자 진료가 가능하게 하는 '달빛어린이병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선 소아청소년병원과 의원이 오후 11시까지 야간진료를 하면 수가 가산 등 추가 지원을 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하지만 달빛어린이병원에서 진료할 수 없는 중증 소아환자가 발생할 경우 이를 받아주는 병원이 없어 곤욕을 겪고 있다. A씨는 "중증환자가 오면 최소한의 응급처치를 하고 전원시킬 병원을 찾는 동안 다른 경증환자들을 진료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며 "다른 아픈 아이와 보호자는 1시간씩 진료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올해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에 대한 정부 예산은 91억원이다. 전담 전문의 수에 비례해 1인당 1억원의 인건비를 지원하고, 만 6세 미만 진료 시 권역센터 대비 응급진료 전문의 진찰료도 15% 가산한다. 응급의료관리료와 중증응급환자 진료구역 관찰료, 응급전용 중환자실 관리료 역시 30% 가산해 보상한다. 하지만 예산 문제로 의료 현장에서 원하는 만큼의 추가 지원 등은 어렵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송영조 복지부 응급의료과장은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사업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점점 확충해나가는 단계로, 기존 응급의료권역보다 더 큰 권역을 담당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계획하고 있다"며 "다음 달 사직 전공의들이 돌아오게 되면 상황이 조금 나아지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안성아양영무예다음 여의대방 더마크원 풍무해링턴플레이스 브레인시티메디스파크 로제비앙 모아엘가 라비움 한강 풍무역롯데캐슬 클러스터용인 경남아너스빌 왕숙진접 메르디앙 더퍼스트 가야역 롯데캐슬 스카이엘 청라 피크원 푸르지오 오산세교 우미린 레이크시티 검단 센트레빌 에듀시티 이천 롯데캐슬 3차 평택 고덕 아이파크 2차 엘리프 검단 포레듀 둔산힐스테이트 마석역 라온프라이빗더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39 여러분 노조가입 new 시 도배금지 2025.08.27 17
2138 ‘마약 밀매’로 위기 고조…미국 이지스함 파견 맞서 베네수엘라 군함 배치 new 은하수 2025.08.27 2
2137 맹꽁이 등장에 인천 송도 고교 건설 올스톱… 개교 지연 우려 new 나나나나 2025.08.27 1
» "아이 죽으면 책임질거냐" 절규…싸워야 겨우 들어갈 수 있는 소아응급실 new BBBBBB 2025.08.27 4
2135 김치주제가_정광태(1985) new 청소 2025.08.27 1
2134 “결혼 안해도 애 낳는다”…100명 중 6명꼴 혼외 출생아, 역대 최고 주먹왕랄프 2025.08.27 1
2133 test test 2025.08.27 1
2132 test test 2025.08.27 0
2131 "남극 빙하서 깨어난 미생물, 인체에 붙어 적혈구 파괴" 김선호 2025.08.27 1
2130 어깨 넓어지게 하는 운동 현철 2025.08.27 2
2129 "트럼프, 평택 ‘캠프 험프리스’ 부지 원하나…헌법상 가능할까" 심심이 2025.08.27 1
2128 “전세대출 막히니 월세로 내몰리는 거죠” thqmffl 2025.08.27 3
2127 전한길 "김문수, 사과하고 정계 은퇴하라…내 뒤에 尹·김건희 있어" 모나미 2025.08.27 2
2126 노랑봉투 지베 2025.08.27 12
2125 "당분간 33도 안팎 무더위 지속"… 허브민트 2025.08.26 3
2124 전국에 비 그친 뒤 낮 최고 35도 다시 '폭염' 폭염 2025.08.26 1
2123 中 하이난 강타한 태풍 '가지키'…베트남도 32만 명 대피 가지키 2025.08.26 2
2122 中 하이난 강타한 태풍 '가지키'…베트남도 32만 명 대피 태풍 2025.08.26 1
2121 노란봉투 노란개미 2025.08.26 16
2120 안녕하세요 이만기 2025.08.2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