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명]하청노동자의 산재사망 정몽준이 책임져라
2015.10.06 16:26
<유명을 달리한 故이정욱 현대중공업 하청노동자의 명복을 빕니다>
하청노동자의 산재사망 정몽준이 책임져라
지난 9월 2일 현대중공업 4도크에서 야간작업을 하던 28세의 젊은 하청노동자가 12미터 도크 바닥에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심각한 뇌출혈로 사경을 헤매던 이정욱 하청노동자는 결국 10월 5일 사망했다. 28세의 젊은 하청노동자는 추락사고가 난지 이틀 후 세 번째 아이가 태어났으나 결국 셋째아이의 얼굴도 못 본채 명을 달리하여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이번 사고는 심야 야간작업을 하면서 최소한의 대피조치와 안전 통로를 확보하지 않은 인재였다. 울산고용노동지청 사고조사에서도 이번 사고는 명백한 현대중공업의 과실로 밝혀졌다. 그러나 현대중공업 사측은 하청사고는 자신의 문제가 아니라며 아직까지 발뺌만 하고 있다.
2014년 13명의 하청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하고 2015년 3명의 하청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했다. 그럼에도 현대중공업은 하청노동자 산재사망은 외면하며 5년간 1천억원이 넘는 산재보험료를 감면받았다. 위험한 작업환경과 일상적인 해고위협으로 하청노동자를 착취하며 책임은 회피하려는 현대중공업의 이런 행태는 도덕적으로도 용납될 수 없다.
연이은 하청노동자의 죽음에 직접 책임져야할 사람은 현대중공업의 실질적 오너 정몽준 전의원이다. 얼마전 장남 정기선 상무의 초고속 승진에서도 보듯이 정몽준 전의원은 현대중공업 내부로는 3대 세습을 추진하고, 밖으로는 개혁을 외치며 FIFA 회장에 출마했다. 정몽준 전의원은 ‘개혁’이라는 말을 외치기 전에 ‘책임’이라는 말부터 배워야 한다. 정몽준 전의원은 故이정욱 하청노동자의 죽음에 모든 책임을 다해야 한다.
2015년 10월 6일
노동당 울산광역시당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85 | 미포 정성이엔지 [1] | 미포 | 2016.02.13 | 2485 |
284 | 불법파업 소송 2심승소를 하며 | 조합원 | 2016.02.11 | 1892 |
283 | 구정보너스 [2] | 미포야간 | 2016.02.05 | 2403 |
282 | 구정보너스 | 미포야간 | 2016.02.05 | 1849 |
281 | 휴일특근 [1] | 이곳이싫다 | 2016.02.05 | 2119 |
280 | 대채휴무... [1] | 쥬신천사 | 2016.02.04 | 2380 |
279 | 정병모(현중노조20대위원장) 선본장 호소영상 - 28년 재벌정치 이번엔 끝냅시다 | 노동자국회의원 | 2016.01.25 | 4561 |
278 | 저성과자 일반해고, 취업규칙 개악 지침, 노동자의 힘으로 심판하자 | 노동자국회의원 | 2016.01.22 | 3228 |
277 | 함께 힘을 모아 28년 재벌정치 바꿉시다 - 정·병·모 선본장 기자회견 new [1] | 노동자국회의원 | 2016.01.21 | 1773 |
276 | 울산퇴직자쉼터입니다. | 울산퇴직자쉼터 | 2016.01.21 | 2884 |
275 | 정규직을 갈망하는 하청노동자의 꿈을 짓밟는 박근혜 대통령 담화 | 이갑용선본 | 2016.01.14 | 1906 |
274 | 업체에서 퇴사 안시켜줍니다 [1] | 띠리링 | 2016.01.11 | 2578 |
273 | 2016년 재정사업에 즈음하여 [2] | 조합원 | 2016.01.09 | 1959 |
272 | 이갑용 첫번째 영상-언제나 당신 편입니다(걸어온 길) | 이갑용선본 | 2016.01.06 | 1769 |
271 | 현대 해양사업본부(미소기업)죽여버리고싶다 [2] | 단결투쟁 | 2016.01.05 | 2646 |
270 | 성과금 [1] | 노동자 | 2015.12.31 | 2498 |
269 | 가능하면 제가노조가입하고싶네요!! [1] | 힘내요 | 2015.12.10 | 2338 |
268 | 만석이란 업체 [2] | 내가.. | 2015.12.01 | 3085 |
267 | 이인휘, 송경동은 자살하라 | 노동꾼 | 2015.11.25 | 2510 |
266 | 해양 사업부 그래도 하는놈은 한다 [2] | 난 떠날 란다 | 2015.11.25 | 33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