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수  
홍익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1987년부터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에서 13년 동안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철학 등을 공부하고 사회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어 1년 6개월 동안 독일 보훔대학교 한국학과 객원교수로 독일 학생들에게 한국 정치와 경제에 대해 강의했다. 귀국 후 대전대, 홍익대, 배재대, 고려대, 건양대 학부와 대전대 대학원에서 사회학, 경제학, 정치경제학, 군사학 등을 강의했다.  
저서로 『리영희 ― 살아있는 신화』(나남출판, 2003년)와 『실업사회』(갈무리, 2004년)가 있고, 20여 편의 논문을 우리말과 독일어로 발표했다. 2003년부터 대전대학교 군사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연구에 전념하여 『전쟁론』 독일어 원전(제2판, 1853년)을 완역, 2006~2009년에 걸쳐 세 권으로 출간했다. 2016년에는 『전쟁론』 독일어 원전 초판(1832~1834년)을 완역 출간하고(2006~2009년 번역의 전면개정판), 『전쟁론』을 해설한 저서 『전쟁론 강의』를 출간했다. 2018년에는 『전쟁론』의 ‘부록’ 독일어 원전 초판(1834년)을 완역하고 해설한 『전쟁이란 무엇인가』를 출간했다.  
『전쟁이란 무엇인가』의 옮긴이 소개에서 ‘한국 클라우제비츠 연구 60년’을 결산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 이 책이 바로 그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현재 홍익대학교 교양과 교수.

[한겨레신문 2020.12.18] 클라우제비츠가 ‘전쟁 선동가’라고? / 고명섭 선임기자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74843.html
 
[연합뉴스 2020.12.16] 국내 클라우제비츠 연구의 권위자인 저자가 클라우제비츠의 저서 '전쟁론'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쓴 책  
http://www.yna.co.kr/view/AKR20201216118600005
 
[뉴스1 2020.12.18] '군사학의 성경' 전쟁론 수용과정 살펴보니 오역·오해의 반복 /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http://www.news1.kr/articles/?4154113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반디앤루니스  영풍문고  북스리브로(오프라인)
 
지역서점  
[서울]  고려대구내서점  그날이오면  풀무질  더북소사이어티  레드북스  산책자  
[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61 정부에서 4차 재난 지원금 지급한다는 소리 나오네요 두현 2021.02.03 157
1060 당신을 만나서 행복했습니다. 당신을 만나서 행복했습니다. 2021.01.28 155
1059 오늘은 즐거운 수요일 대건 2021.01.27 152
1058 사랑 하셨듯이 조합원 2021.01.22 127
1057 내일 로또나 됬으면 좋겠네요 철우 2021.01.22 130
1056 가라 앉는 것 조합원 2021.01.21 126
1055 구관이 명관 이랬다. 승철 2021.01.21 125
1054 혐오가 당연시되는 시대.. 대건 2021.01.20 223
1053 직장 행복하게 다니고 싶다. 김현수 2021.01.18 164
1052 오늘 또 눈 엄청오네요 내일아침 큰일났네요.. 이기훈 2021.01.17 135
1051 항상 겸손하고 또 겸손해야 한다. 상용 2021.01.15 152
1050 오늘의 명언 한번씩 보고가세요~ 병수김 2021.01.14 121
1049 초대! 『클라우제비츠와의 마주침』 출간기념 저자 강연회 (2021년 1월 17일 일 오후 3시) 갈무리 2021.01.08 173
1048 새 책! 『불타는 유토피아 ― ‘테크네의 귀환’ 이후 사회와 현대 미술』 안진국 지음 갈무리 2021.01.08 141
1047 행복해지는 글귀 김의나 2020.12.29 325
1046 이제 조선소도 망하는 길로가네 [2] ㅅㅂ 2020.12.27 593
» 새 책! 『클라우제비츠와의 마주침 ― 전쟁론과 클라우제비츠는 한국에 어떻게 수용되었는가?』 김만수 지음 갈무리 2020.12.23 481
1044 서로에게 도움 되는 글 희정 2020.12.22 354
1043 오늘의 명언 미키마우스 2020.12.22 318
1042 멸종위기 고래 어미와 새끼. 최명우 2020.12.19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