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WORKERS]

t.jpg

체불임금 19년간의 불법을 3년치로 면해주는 기막힌 법

근로기준법 49조 개정 반드시 국회 통과시켜야

                                            김석진(현대미포조선 현장노동자투쟁위원회 의장) 2018.02.14 12:20




전화 한 통을 받았다. 그는 내가 다니는 현대미포조선 총무부 후생복지팀에 근무하는, 청소를 하는 여성조합원이었다. 다짜고짜 “억울하다, 도와달라”를 반복했다. 그러면서 그는 가족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으로서 어린 두 딸(5살, 7살)을 집에 두고, 먹고 살기 위해 회사에 취직했는데, 무임금 초과근무 때문에 19년간 가슴앓이를 하면서 고통스럽게 살아왔다고 했다.

“월급을 타보니 아침 조기출근 시간하고 점심시간 30분 연장 작업한 시간은 빠져있더라고요. 그래서 모르고 빼먹었나 싶어 조출시간 1시간과 점심시간 30분에 대해 연장 달아 달라고 회사담당 찾아가 이야기했었지요. 19년 전부터 담당이 바뀔 때마다 이야기했고 하다못해 노동조합에도 찾아가 이야기해봤는데, 19년 동안 무시당해온 거예요. 어느 날에는 현장반장에게 조출시간 달아달라 했더니 ‘아주머니 두 번 다시 조출 이야기 꺼내지 마소’라고 윽박지르더라고요.”

이 말을 듣는 순간 노동조합도 있고, 세계 제1의 중형 선박을 건조하는 회사에서 어찌 이러한 일이 있어왔는지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았다. 먼저 당사자 정분임 조합원과 필자의 명의로 대표이사 앞으로 체불임금 지급 촉구서를 두 차례, 세 차례 보냈다. 돌아온 회사의 답변은 자신들이 잘못한건 사실이나, 체불임금은 법 테두리 내에서 3년치와 얼마의 위로금만 지급 할 수 있다는 말이었다. 이를 거부하자 회사는 3년치 체불임금을 법원에 공탁해버렸다. 법대로 하자는 것이다.



1.jpg

[출처: 건설노조]


근로기준법 49조에서 체불임금 시효를 3년으로 정하고 있기에 법대로 하라면 더 이상 법적으로는 요구할 근거가 없는 건 사실이다. 그렇다고 19년간의 불법에 눈감고 물러설 일도 아니다. 체불임금 전체를 지급하라며 투쟁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된 근로기준법 49조 관련내용을 검토하던 중 민주당 백재현 국회의원이 대표 발의한 근로기준법 개정내용을 확인했다. 49조 “임금채권은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로 소멸한다”를 “임금채권은 사용자와의 근로계약이 종료한 때부터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한다”로 개정하겠다는 것이다. 개정안 발의의 실무를 맡았던 한현규 노동비서관을 통해서 법의 맹점과 개정취지를 듣게 되었다. 한현규 노동비서관은 전화통화를 통해 상세히 설명해주었다.

“오래전부터 임금체불 문제가 심각한 수준으로 많았습니다. 그래서 현행법을 살펴보던 중 근로기준법 49조는 지난 3년 범위만의 체불임금을 구제받을 수 있는 제도로서 노동자에게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소지가 다분하고 불합리한 점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재직기간 중 임금체불에 대한 고소고발진정 등을 하기 힘든 노동자들의 현실적인 어려움까지 있는 상황에서 적어도 법률만큼은 재직기간 중 일어난 모든 체불임금에 대해서 권리를 보장해줄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 입법작업을 시작하고 발의하게 되었습니다.”

체불임금에 맞선 투쟁과 근로기준법 개정에 지지와 연대가 필요하다. 체불임금에 대한 현재의 소멸시효는 불법행위 일부에 대해서만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자본가를 지켜준다. 노동자는 싸워 이기더라도 자신이 잃어버린 권리의 일부만을 되찾을 수 있을 뿐이다. 이처럼 노골적으로 자본가에게 기울여져있는 불공정한 법을 우리는 계속 묵인해 온 것이다. 이러한 불평등을 이제는 종식시켜야 한다.

불법을 저질러놓고 근로기준법 49조를 핑계로 전체기간의 체불임금 지급을 거부하는 사업주에 맞서 구속처벌은 물론이고, 전체 체불임금 지급이 받아들여질 때까지 한 치의 흔들림 없이 현장투쟁을 벌여나갈 것이다. 아울러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올해 반드시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어 체불임금으로 고통받는 노동자들이 없도록 함께 힘을 모아 가도록 해야 한다. 이 길에 힘찬 현장투쟁을 결의하며 전국의 노동자들의 지지와 연대를 호소한다.


[편집자주] 2018 출범한 노동조합 집행부는 정분임 조합원의 체불임금건에 대해 적극적으로 함께 투쟁의 결의를 밝히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 [성명] 기만적인 비정규대책은 필요 없다. 파견법과 기간제법 폐지로 비정규직 철폐하자! 사회변혁노동자당 2016.04.10 1420
520 [논평] 10대 재벌 사내유보금 645조원, 1년여 만에 7.5% 증가 사회변혁노동자당 2016.04.10 1421
519 [노동자 연대]조선업 구조조정: 기업주가 아니라 노동자를 지원하라 노동자연대 2016.05.19 1432
518 새책! 『대테러전쟁 주식회사』(솔로몬 휴즈 지음, 김정연·이도훈 옮김) ― 공포정치를 통한 기업의 돈벌이 갈무리 2016.04.20 1434
517 스타플렉스 오체투지 file 철의노동자 2018.12.08 1434
516 상여금기본급전환꼼수 빠삐 2018.01.04 1439
515 세월호 참사 2년, 기억과 약속의 힘 file 노동총동맹 2016.04.16 1445
514 현대차 자본의 탄압을 뚫고 비정규직 철폐를 위한 새로운 10년을 열어가자 노동총동맹 2016.05.14 1448
513 [새책] 『크레디토크라시 ― 부채의 지배와 부채거부』(앤드루 로스 지음, 김의연·김동원·이유진 옮김)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6.05.30 1448
512 현대중공업 사망재해 발생 투쟁 2016.04.19 1449
511 새로 나온 소책자 - 임금, 임금 격차, 연대 노동자연대 2016.06.21 1450
510 태풍조심하세요 콸콸콸 2020.09.20 1460
509 조선소 하청 노동자들의 정권퇴진 1박2일 거리행진 (12.2.-3.) file 선봉 2016.11.30 1465
508 긴급 [2] 제발 2017.04.09 1466
507 [노동자 연대]조선업 구조조정에 어떻게 맞설 것인가 노동자연대 2016.05.19 1468
506 [노동자 연대]하청에 이어 정규직 고용까지 위협하는 자구안 : 분사화는 또 다른 비정규직화! 구조조정 중단하라 노동자연대 2016.06.15 1471
505 총파업과 함께 이런일상활동은? [2] 변창기 2016.11.10 1471
504 울산 입주민들, 김기현 시장 검찰에 고발 청소노동자 2016.12.07 1471
503 佛 노조 "연금개혁 반대시위 성탄절까지 갈 수도" 경고 노동투 2019.12.13 1473
502 하청노동자 여러분 [7] 하청노예 2019.02.26 1474